2023.03.21조회수560
2023 < KF 외교관 한국언어문화연수 >
KF(Korea Foundation, 한국국제교류재단, 이사장 김기환)는 3월 8일(수) 환영식을 기점으로 총 12주 동안 25개국 외교관 25명이 참가하는 2023 프로그램을 시작했습니다. 올해는 유럽, 대양주, 중남미, 아프리카 등 총 25개국에서 참가한 외교관 25명이 연수에 참가했습니다. 경희대학교 국제교육원에서 한국어 교육을 수강하며, 태권도, K-pop 댄스 등 다양한 한국 문화를 체험하고, 경복궁, 국립중앙박물관, DMZ 등 방문도 예정되어 있습니다. 연수생들에게는 한국 외교부를 방문해 우리나라 외교관들과 네트워킹할 기회도 제공됩니다. 국립외교원에서 한반도 및 동북아 정세 등을 주제로 한 특강도 준비되어 있어, 한국의 정치, 경제, 사회 등에 대한 이해도를 높일 예정입니다. 3월 8일(수), 서울 웨스틴 조선 호텔에서 개최된 환영식에는 유스프 샤리프조다 주한타지키스탄대사, 딴 진 주한미얀마대사, 네마냐 그르비치 주한세르비아대사 등 주한외교사절단들이 참석해 연수생들을 격려했습니다. 특히 네마냐 그르비치 주한세르비아대사는 2017년 참가자로, 본인의 연수 경험을 참가자들과 공유하며 뜻깊은 시간을 보냈습니다. 2018년 참가자인 무함마드 하이다스 주한말레이시아대사관 1등서기관도 올해 참가자들에게 경험담을 전하며 격려했습니다.
2023.02.22조회수544
< BTS-KF 한국어 강좌 > 사업, 2022년 외교부 공공외교 우수 사례로 선정
KF(Korea Foundation, 한국국제교류재단, 이사장 김기환)의 이 외교부 공공외교위원회 주관 ‘2022년 공공외교 중앙행정기관 협업 부문 우수사례’로 선정되었습니다. 은 BTS와 영화 ‘기생충’의 인기로 해외에서 한국 문화 및 한국어에 대한 관심이 고조된 시기에 KF가 해외 한국어 학습 열풍을 강화하기 위해 2020년 빅히트 에듀(2021.3 ‘하이브 에듀’로 사명 변경, 이후 2022.6 네이버 자회사 ‘스노우’가 운영하는 ‘㈜케이크’에 합병됨), 한국외대와 협약 체결을 맺고 시행한 사업입니다. 온라인 한국학•한국어 강좌 사업인 ‘KF e스쿨’ 사업 모델에 빅히트 에듀와 한국외대 허용 교수 연구팀(한국어콘텐츠연구소)이 공동 개발한 한국어 교재 『Learn! KOREAN with BTS』를 결합한 온라인 한국어 강좌입니다. 이 사업은 코로나19로 인한 온라인 교육 확산에 따라, 강좌 수가 2020년 4개국 5개 대학 7개에서 2022년 13개국 16개 대학 52개로 대폭 확대되면서 전 세계 해외 한국어 교육 보급 및 활성화에 기여하고, KF의 해외 한국어 교육을 위한 온라인 특화 사업으로 성장했습니다. 외교부는 공공외교법에 따라 운영되는 상설 위원회인 공공외교위원회를 통해 2019년부터 매년 중앙행정기관, 지방자치단체, 재외공관의 활동 중 공공외교 우수사례를 선정•발표하고 있으며, 은 KF-빅히트 에듀-한국외대 민•관•학 협력의 우수 사례로 인정받아 2022년도 중앙행정기관 부문 우수사례 2건 중 1건으로 선정되었습니다.
Learn! KOREAN with BTS 교재
KF-빅히트 에듀-한국외대 업무협약식 *빅히트 에듀는 현재 ㈜케이크로 합병됨
2022.09.30조회수616
해외 한국어 온라인 교육 ‘KF Online Korean Class' 강사 역량 강화 워크숍
KF(Korea Foundation, 한국국제교류재단, 이사장 이근)가 해외 한국어 온라인 교육 ‘KF Online Korean Class (이하 ‘OK 클래스’)’ 참여 강사들을 대상으로 마련한 강사 역량 강화 워크숍이 8월 5일부터 30일까지, 총 4회에 걸쳐 성공적으로 마무리되었습니다.
OK 클래스는 지난해부터 KF와 코리안앳유어도어(Korean At Your Door, KAYD)가 기관 간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각 기관의 전문성을 기반으로 국내 시각장애인 한국어 강사들을 해외 대학 한국어학과 학생들과 연결하여 1:1 전화•화상 한국어 교육 서비스를 제공해 온 사업입니다.
올해는 이 교육 프로그램의 지속 운영 및 강사 역량 강화를 위해, OK 클래스 수업에 참여하는 강사들을 대상으로 온•오프라인 교육 워크숍을 마련했습니다. 워크숍은 △ 듣기, 읽기, 말하기 및 문법 교육론, △ 러시아, 베트남 및 인도네시아 현지 학습자의 특성 이해 교육으로 구성되었습니다.
현지 학습자 특성 이해 교육에는 KF 객원교수 파견 사업으로 러시아, 베트남 및 인도네시아 대학에 파견되어 한국학 또는 한국어를 가르치는 객원교수들이 연사로 참여하여 현지 교육 현장의 생생한 이야기를 공유하였습니다.
코리안앳유어도어 강사들은 워크숍 이후 해외 3개국(러시아, 베트남, 인도네시아) 8개교([러시아] 로모노소프모스크바국립대, 러시아국립고등경제연구대 모스크바 캠퍼스, 게르첸국립사범대, 극동연방대 / [베트남] 하노이국립외국어대, 호찌민국립인문사회과학대 / [인도네시아] 인도네시아교육대, 가자마다대)의 한국어 학과 학생들 대상으로 전화•화상 한국어 수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수업은 11월까지 계속됩니다.
2022.08.11조회수842
‘2022 KF 글로벌 한국학포럼’ 온·오프라인 개최
KF(Korea Foundation, 한국국제교류재단, 이사장 이근)는 8월 4일(목) 서울 웨스틴조선호텔에서 KF 창립 30주년 기념 ‘2022 KF 글로벌 한국학포럼’을 온·오프라인으로 동시 개최했습니다.
이 포럼에서는 30년에 걸친 KF 해외 한국학 사업을 기념하여 ‘해외 한국학 패러다임의 변화와 미래 발전 방향’이라는 주제로, △ 지난 30년간 지역별·분야별 해외 한국학 주요 성과와 패러다임 변화를 짚어 보고, △ 해외 한국학의 미래 발전 방향에 대해 논의했습니다.
2022 KF 글로벌 한국학포럼은 팬데믹 이후 최초 오프라인 중심 대규모 한국학 학술회의로, 총 33개국 100여명의 한국학 전문가가 현장 참석했습니다. 이 중 ‘해외 한국학의 대부’로 불리는 기조연설자 John Duncan(존 던컨) UCLA 명예교수를 비롯하여, 연사인 미시간대 유영주 교수, Nishino Junya (니시노 준야) 게이오대 한국학센터장, Roald Maliangkay (로알드 말리앙카이) 호주국립대 교수, Barbara Wall (바바라 발) 코펜하겐대 교수 등은 KF 해외 한국학 진흥 사업과 연이 깊은 학자들로, 각국 유수 대학에서 한국학 후속 세대를 양성하고 있습니다.
개회식에서는 KF 이근 이사장의 개회사를 시작으로, 이도훈 외교부 제2차관과 한경구 유네스코한국위원회 사무총장의 축사, 존 던컨 명예교수의 기조연설이 이어졌으며, 이후 총 4개 세션으로 구성된 포럼이 진행되었습니다.
세션 1, 2는 각 지역을 대표하는 전문가들이 해외 한국학의 지역별 주요 성과와 발전전망을 조망하는 발제와 토론을 진행했습니다. 세션 1(좌장: 김승경 인디애나대 교수)에서는 북미, 유럽, 중남미 지역을 다루었고, 세션 2(좌장: 서강대 김동택 교수)에서는 아시아, 대양주, 러시아, 중앙아, 아프리카, 중동지역 한국학 현황을 심층적으로 살펴보았습니다.
세션 3은 최근 주목받고 있는 한국학 연구의 주요 패러다임 변화를 논의하는 자리로, △ 한류현상과 연구(좌장: 우미성 연세대 교수), △ 한국어(좌장: 이해영 이화여대 교수), △ KF e-스쿨과 온라인 교육(좌장: 김지형 경희사이버대 교수)의 3개 분과별 발제와 토론이 동시에 진행되었습니다.
마지막으로 세션4 종합토론(좌장: 서울대 박태균 교수)에서는 앞서 논의한 지난 30년간의 성과와 패러다임 변화를 바탕으로 향후 해외 한국학의 학문적 진화와 나아갈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습니다.
이외에도 이선영 CJ ENM 총괄 프로듀서(CP)가 오찬 연설자로 참석했습니다. 한국의 예능 ‘너의 목소리가 보여’를 북미 시장에 성공적으로 수출한 경험을 바탕으로 소프트파워 자산으로써 K-pop 등 한류 컨텐츠가 갖는 의미를 되짚어 보았습니다.
이번 포럼의 영상은 KF 유튜브 채널(youtube.com/TheKoreaFoundation)에서 시청할 수 있습니다.
2022.01.07조회수1276
KF, 미국 프린스턴대에 한국학 기금교수직 설치
KF는 2021년 11월 18일 프린스턴대와 총 500만불 규모의 한국학 기금교수직 설치 협약을 체결했습니다. 양 기관이 올해부터 매년 각각 50만 달러씩 5년간 적립해 500만 달러 규모로 기금을 조성한 후 한국학 교수를 임용하게 됩니다. 이번 한국학 교수직은 지난 2007년 설치한 한국문화·사회학 조교수직에 이은 두 번째 교수직으로, 2007년부터 임용 중인 스티븐 정(Steven Chung) 한국문화·사회학 KF교수(現부교수)와 함께 프린스턴대의 한국학 연구·교육 기반 확대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KF는 1991년 창립 이래 美동부 아이비리그 대학(▲하버드, ▲예일, ▲프린스턴, ▲펜실베이니아, ▲컬럼비아, ▲코넬, ▲다트머스, ▲브라운대)에 한국학 전공 교수직을 설치하고 한국어 강사 고용을 지원하는 등 현재 아이비리그 8개 대학에 총 14명의 KF 한국어/학 교수와 1명의 한국어 강사가 활동 중에 있습니다. KF 이근 이사장은 2021년 11월 18일(목) 오후(미국 동부시간) 프린스턴대를 방문, 데보라 프렌티스(Deborah Prentice) 프로보스트(Provost), 파블로 데베네데티(Pablo G. Debenedetti) 연구처장, 애나 쉴즈(Anna M. Shields) 동아시아학과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동 기금교수직 설치 협약식을 개최했습니다. 한편, KF는 미국 내 지역별로도 균형있는 한국학의 발전을 위해, 2021년 12월 남부 조지아주에 위치한 에모리대와도 총 400만불 규모의 한국학 기금교수직 신설 협약을 체결했으며, 이를 계기로 美 남부 및 중부 지역의 한국학 기반도 지속적으로 강화해 나갈 계획입니다. KF는 지난 30년간 해외 17개국 97개 대학에 총 149석의 정규 한국학 교수직을 설치하였고, 해외에서 총 4,000명 이상의 한국학 전공 석·박사생 및 박사후연구 펠로를 지원했습니다. 금번 프린스턴대 기금교수직 설치를 비롯, 전도유망한 차세대 학자들을 배출하고 있는 해외 주요 대학에 한국학 확대를 위한 지원을지속함으로써, 해외에서 한국학 연구와 교육의 저변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2021.12.08조회수1318
싱가포르국립대(NUS)에 코리아센터 설치
KF(Korea Foundation, 한국국제교류재단, 이사장 이근)의 지원으로 싱가포르국립대(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 NUS)가 대학 내 연구소인 동아시아연구소(East Asian Institute; EAI)에 코리아센터(Korea Centre)를 설치했습니다. 센터 개소식은 11월 29일(월요일) 17시 40분(한국시간 기준)에 싱가포르 현지에서 개최되었습니다. 개소식에는 이근 KF 이사장과 최훈 주싱가포르대한민국대사를 비롯 탄엥체(Tan Eng Chye) 싱가포르국립대(NUS) 총장, 테곡펑(Teh Kok Peng) 동아시아연구소(EAI) 소장, 람펑얼(Lam Peng Er) 코리아센터장, 아세안 회원국 대사 등이 참석했고 비비안 발라크리쉬난(Vivian Balakrishnan) 싱가포르 외교부 장관의 기조연설 후 기관 현판을 공개했습니다. 센터장으로 임명된 람펑얼 교수를 비롯한 코리아센터 연구진은 개소식 후 남북한 및 아세안 간 3자 관계와 한반도 평화를 다루는 계간지 창간호 발간, 국제 컨퍼런스 개최 뿐만 아니라 향후 싱가포르 및 아세안 지역의 한국 관련 연구 활성화와 이해 제고를 목표로 연구 활동, 회의 개최, 학계 네트워크 구축 등 다양한 사업을 운영할 예정입니다. KF는 △2009년 일본 게이오대 동아시아연구소 현대한국연구센터, △2018년 스웨덴 안보정책개발연구소(ISDP) 코리아센터, △2020년 러시아 이르쿠츠크국립대 한국학연구센터 설치를 지원한 바 있으며, 이번에 아세안 지역에서는 최초로 싱가포르국립대에 코리아센터를 개소하게 되었습니다.
2021.10.28조회수795
〈2021 KF 온라인 한국학 특강〉러시아편 개최
KF(Korea Foundation, 한국국제교류재단, 이사장 이근)는 10월 22일(금) 러시아편을 개최했습니다. 이번 특강은 한-러 수교 30주년을 기념하여 기획되었으며, 러시아 소재 18여 개 대학의 한국어학과 대학생들과 국내 한국(어)학 학습자를 대상으로 진행되었습니다. 강연 내용은 현지의 한국어 전공 대학생들이 가장 관심 있어 하는 ▲외국인이 잘 틀리는 한국어 발음법(윤은경 대구사이버대 한국어다문화학과 교수), ▲한국과 러시아 문화 차이(민경하 콘텐츠 크리에이터), ▲한러 관계의 발전(엄구호 한양대 국제학대학원 교수)으로 구성하였습니다. 특히 한러 문화 차이를 주제로 강연을 펼친 민경하는 CIS지역의 SNS 팔로워 95만명(유튜브 구독자 73만명, 인스타그램 팔로워 22만명)을 보유한 인기 유튜버로, 유튜브 채널 ‘KYUNGHA MIN’에서 한국 문화, 뷰티, 언어 등 한국 관련 콘텐츠를 러시아어로 소개하고 있으며, 구독자 90%가 러시아 등 현지 네티즌일 정도로 CIS지역에서 인기 스타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현지에서 온라인 접속한 18개대 약 500명의 한국어 전공 학생들은 댓글과 Q&A 세션을 통해 적극적으로 강의에 참여했으며, 이후 참여한 설문조사를 통해 “특강을 통해 한국에 대해 더 큰 관심을 갖게 되었다”, “어려운 단어가 많지 않아 내용을 잘 파악할 수 있었고, 정말 유익한 특강이었다” 고 전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