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원령 피해 중앙아시아 국가로 이주 결정한 러시아인 증가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지난 9월 21일 자국의 주권과 영토를 보호한다는 명분으로 예비군 30만 명을 동원하는 부분적 동원령을 발표했다. 그러나 러시아 정부의 기대와는 다르게 동원령을 피해 러시아를 탈출하는 사람이 늘어나고 있다. 한 언론 보도에 따르면 지금까지 해외로 탈출한 러시아인이 70만 명을 넘어섰다.
지난 2월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공격한 직후 일부 러시아인들이 동유럽, 서아시아, 중앙아시아 등지로 이주하는 모습이 관찰되기도 했지만, 동원령 발포 이후 튀르키예, 조지아, 아제르바이잔, 아르메니아, 카자흐스탄 등 무비자 협정이 체결된 국가 혹은 러시아어가 통용되는 국가로의 이탈이 눈에 띄게 증가하고 있다.
앞으로 중앙아시아 국가로 이주하는 러시아인은 점차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카자흐스탄의 경우 러시아의 동원령 발포 이후부터 10월 초까지 20만여 명의 러시아인이 입국했다는 통계를 발표했다. 이는 조지아- 5만3천여명, EU국가- 6만6천여명에 비해 상당한 수이다. 텔레그램에는 이주와 관련된 다수의 정보방이 개설되어 있는데 가장 인기 있는 정보방에만 이미 10만명에 가까운 사람들이 참여하고 있다(“카자흐스탄 이주” -3만4천명, “우즈베키스탄 이주”- 2만6천명, “웰컴 투 키르기스스탄”- 2만2천명 등).
갑작스러운 러시아인 유입으로 해당 도시의 임대료가 급상승하는 등 사회적 문제가 발생하고 있지만, 오히려 중앙아시아 국가들은 반색을 표하고 있다. 러시아를 이탈한 사람들이 대개 고학력, 고소득, 고숙련 노동자라는 점에서 중장기적으로 훌륭한 인적 자원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예컨대 카자흐스탄의 경우 테크노단지에서 일하는 외국인에게 5년 비자를 지급하고 대부분 세금을 면제해주기로 했고, 또 스타트업 기업에게는 최대 미화 5만 달러의 사업개발 보조금과 12개월간 사무실 임대료를 지원하기로 했다. 또 우즈베키스탄은 기술 근로자에게 모든 공공서비스에 대한 접근과 영주권 신청 권리를 제공하는 3년 비자를 발급하고 있다. 키르기스스탄의 경우 러시아 이주민들에게 노동비자가 필요 없는 소위 “디지털 노마드”의 자격을 부여하고 법무부와 세무 당국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했다.
지금까지 러시아와 중앙아시아 국가의 노동시장 형태는 중앙아시아의 값싼 노동력이 러시아로 유입되는 모습을 보였다. 그러나 러시아의 무리한 전쟁과 동원령으로 인해 새로운 양상이 나타나고 있다. 아직 정확한 통계는 발표되지 않았지만 중앙아시아 국가의 적극적인 이민자 수용 정책으로 이미 여러 주요 도시에서는 러시아인들이 부동산을 매입하거나 시민권을 신청하는 모습이 나타나고 있다.
** 시사점: 러시아인의 중앙아시아 이주는 일시적인 현상일 수도 있다. 그러나 러시아는 아직 종전에 대한 뚜렷한 출구 전략을 제시하지 않고 있다. 언제까지 전쟁이 계속될지 예측할 수 없으며 앞으로도 러시아 내부적으로 사회적, 경제적 어려움이 한동안 이어질 것이다. 중앙아시아의 여러 주요 도시의 경우 러시아어가 통용될뿐만 아니라 외국인에 대한 차별이 적기 때문에 러시아인들에게 상당히 매력적인 이주지이다. 따라서 이미 이주를 결정한 사람들이 종전 이후 다시 본국으로 돌아가기는 쉽지 않아 보인다.
** 자료원 :
1) https://www.ipg-journal.io/regiony/azija/konkurencija-za-rossiiskikh-uklonistov-1573/
2) https://www.dw.com/ru/bezopasno-li-rossijskim-uklonistam-perezdat-mobilizaciu-v-kazahstane/a-63277528
※ 본 게시물은 한국외국어대학교 중앙아시아연구소에서 요약, 번역, 감수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