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국민과 함께 세계와 소통하는 한국국제교류재단한국국제교류재단

SEARCH
검색 닫기

아세안 소개

아세안 소개 (2019년 기준, 출처: 외교부)

asean
  • 공식명칭
    동남아시아 국가연합(ASEAN: Association of Southeast Asian Nations)
  • 회원국(총10개국)
    브루나이 다루살람, 캄보디아, 인도네시아, 라오스, 말레이시아, 미얀마, 필리핀, 싱가포르, 태국, 베트남
  • 창설배경
    베트남전 본격화, 인도차이나 공산주의 확산 등 국제정세 급변에 따른 공동 대응 필요성에 따라, 1967.8.8 아세안 5개국(인도네시아, 태국, 말레이시아, 필리핀, 싱가포르)이 외교장관 회의를 개최하였으며, 아세안 창립선언(방콕 선언)을 발표함으로써 결성
  • 아세안 전체 주요지표
    • 인구 :약6억, 6,061.7만명
    • 면적 : 약448만㎢
    • GDP : 3조 1,731억불
    • 총교역량 : 3조 5,608억불(수출: 1조 8,496억불 / 수입: 1조 7,112억불)

    ※ 출처 : 인구, 면적, GDP, 총교역량(World Bank, IMF)
  • 아세안상징기
    아세안의 로고는 안정, 평화, 화합, 역동성을 상징합니다. 상징기에 사용된 파란색, 빨간색, 흰색, 노란색은 아세안 국가를 대표하는 색으로 파란색은 평화와 안정을, 빨간색은 용기와 활동성을, 흰색은 순수함을, 노랑색은 번영을 의미합니다.
    중간의 노란색 볏자루 모양은 아세안 10개 회원국의 우정과 협력 증진에 대한 바람을 나타내며, 동그란 띠는 아세안의 화합을 상징합니다.
  • 대화상대국
    • 대화상대국(Dialogue Partners): 한국, 미국, 일본, 중국, 러시아, 캐나다, 호주, 뉴질랜드, 인도, EU 10개국
    • 부분대화상대국(Sectoral Dialogue Partner): 파키스탄, 노르웨이, 스위스, 터키
    • 비국가 대화파트너(Non-Country Dialogue Partner): UNDP
    • 개발 파트너(Development Partner) : 독일, 칠레, 프랑스, 이탈리아
    ※ 2020.9월 제53차 아세안 외교장관회의에서 프랑스, 이탈리아를 개발 파트너로 승인
  • 아세안 비전 2020
    1997년 제2차 비공식 정상회의에서 2020년까지 아세안의 장기 발전계획을 채택하며 4대 목표 제시
  • 4대 목표
    아세안 회원국간 협력, 아세안의 경제통합과 역동적인 발전을 위한 파트너십 구축, 지역정체성 및 공동역사·문화에 기초한 아세안 공동체 구현 및 대외지향적 아세안 실현
  • 아세안 공동체(ASEAN Community)
    • 2015년 12월 31일 공식출범한 아세안 공동체(ASEAN Community: AC)는 3개의 공동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3개의 공동체는 △아세안 정치‧안보 공동체(ASEAN Political-Security Community: APSC), △아세안 경제공동체(ASEAN Economic Community: AEC), △ 아세안 사회・문화 공동체(ASEAN Socio-Cultural Community: ASCC)입니다.
    • 아세안 공동체 비전 2025 주요 공통 내용
      • 아세안은 규범 중심적이며(rule-based), 인간적이고(people-oriented), 인간중심적(people-centered)인 아세안 공동체 지향
      • 동 공동체는 아세안 Charter에서 명시하고 있는 아세안 국민들의 인권과 기본 자유, 높은 삶의 질, 공동체 구축의 혜택 등을 보장
      • 아세안 공동체는 평화적이며, 안정적이고, 회복력(resilient) 있는 공동체를 지향하며, 세계국가 공동체(a global community of nations)의 일원으로서 대외 지향적(outward-looking) 공동체를 추구

한-아세안 관계 (2019년 기준, 출처: 외교부)


  • -아세안 관계
    • 1989.11월부분 대화관계(Sectoral Dialogue Partnership) 수립
    • 1991.07월완전대화상대국 관계(Full Dialogue Partnership)로 격상
    • 1997.12월제1차 아세안+3 정상회의 및 제1차 한-아세안 정상회의 개최
    • 2004.11월한-아세안 포괄적 협력 동반자 관계에 관한 공동선언」 채택 및 동남아 우호협력조약(Treaty of Amity and Cooperation) 가입
    • 2005.12월한-아세안 FTA 기본협정체결, 「한-아세안 포괄적협력 동반자 관계에 관한 공동선언」 이행을 위한 행동계획 채택
    • 2006.08월한-아세안 FTA 상품협정 체결
    • 2007.11월한-아세안 FTA 서비스협정 체결
    • 2009.03월한-아세안 센터 출범
    • 2009.06월대화관계 수립 20주년 기념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 개최(제주), 한-아세안 FTA 투자 협정 체결
    • 2010.10월한-아세안 전략적 동반자 관계에 관한 공동선언」 채택
    • 2012.09월주아세안 대표부 설립
    • 2014.12월대화관계 수립 25주년 기념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 개최(부산
    • 2017.05월아세안 특사, 필리핀·인도네시아·베트남 파견
    • 2017.09월아세안문화원 개원(부산)
    • 2017.11월신남방정책 천명 및 「한·아세안 미래공동체 비전」 발표
    • 2019.11월대화관계 수립 30주년 기념 2019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 및 제1차 한-메콩 정상회의 개최(부산)

정치·외교 관계

  • 아세안 10개국과 모두 외교관계 수립
    ※ 북한도 10개국과 수교
  • 양자 방문 및 다자회의 계기 정상·각료급회의의 활발한 개최

교역·인적교류

  • 교역: 1,533.6억불(흑자 374억불 / 수출 953.8억불, 수입 579.8억불), 제2의 교역대상
  • 투자: 95.5억불(제2의 해외투자 대상지역)
  • 건설: 80억불(제1의 건설수주 시장)
  • 방문객: 양측 간 교류인원은 연간 약 1,274만명
    • 한국 → 아세안 : 약 1,005만명(제1위 방문지역)
    • 아세안 → 한국 : 약 269만명
※ 출처 : 교역(한국무역협회), 투자(한국수출입은행), 건설(해외건설협회), 방문객(한국관광공사)

한-아세안 협력 기금

  • 1990 - 2020년간 약 1억 2,000만불의 협력기금 제공
  • 2019년부터 공여액을 연간 700만불에서 1,400만불로 증액
  • 한-아세안간 개발협력, 기술이전, 인적자원개발, 문화, 학술교류 분야 등에 걸쳐 양측이 합의하는 한-아세안 협력사업 시행
  • 2016.12월 한-아세안 협력 기금 전담 관리팀인 ‘한-아세안 협력사업팀(AKPMT: ASEAN-ROK Program Management Team)’을 자카르타에 설립

한-아세안 정상회의

  • 1997.12월 아세안 창설 30주년 제2차 아세안 비공식 정상회의 계기, 아세안의 초청으로 한·중·일 정상은 제1차 아세안+3 정상회의에 참석하고 별도의 양자(아세안+1) 정상회의도 개최
  • 1998.12월 제2차 아세안+3 정상회의 이후 아세안+3 정상회의가 정례화됨에 따라 한-아세안, 일-아세안, 중-아세안 정상회의도 각각 자동적으로 정례화되어 공동 관심사 협의

한-아세안 외교장관회의

1979년부터 아세안 10개국과 대화상대국 10개국이 각각 참여하는 확대외교장관회의(PMC: Post Ministerial Conference) 정례화

우리는 매년 7-8월경 아세안 의장국에서 개최되는 아세안 관련 외교장관회의 계기에 한-아세안 외교장관회의 개최

한-아세안 경제장관회의

2003.10월 제7차 아세안+3 정상회의 당시 2004년 아세안+3 경제장관회의 계기 한-아세안 경제장관회의를 개최키로 합의

한-아세안 FTA, RCEP등 지역 자유무역협정, 정상회담의 경제분야 등이 주요 의제

한-아세안 다이얼로그

한-아세안간 정치·안보, 경제, 사회·문화 등 전 분야를 걸쳐 한-아세안 간 협력 관계를 점검, 협력 증진방안을 논의하는 차관보급 협의체

  • 제18차 한-아세안 다이얼로그(2014.6.18-20, 부산) 계기 안보 전담 대화를 별도 세션으로 개최한 이래, 2018년까지 한-아세안 다이얼로그 계기 안보대화 개최.
  • 다만, 올해는 화상으로 통합 개최
  • 의제는 지역 안보 등 전통적 안보 이슈 뿐 아니라, 대테러, 식량안보, 에너지, 재난관리 등 비전통적 안보 이슈 포함
  • 한반도 및 동남아 정세 등 지역정세 및 한-아세안 관계 등 논의

공동협력위원회(JCC : Joint Cooperation Committee)

한-아세안간 정치, 경제, 문화, 환경 및 교육 협력 등 제반분야를 아우르는 포괄적인 협력을 논의하는 협의체로서 매년 상반기 아세안 사무국(자카르타)에서 개최, 2014년에 공동기획심의위원회(JPRC : Joint Planning and Review Committee)에서 공동협력위원회로 명칭 변경

JCC Working Group: JCC 준비회의로, 우리측이 공여한 한-아세안 협력기금을 활용해 추진되는 각종 협력 사업 이행을 점검